본문 바로가기
320x100
반응형

향이란 무엇인가4

향료의 분류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향료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향료의 분류 향료는 크게 천연향료와 합성향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천연향료 말 그대로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의 향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추럴함' 즉, 자연스러움이 강점입니다. 또 다른 특징들은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높고, 일정한 품질 유지가 어렵고, 섬세한 표현이 어려우며, 불안정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단점들은 천영향료가 가지고 있는 내추럴함이 강점이기 때문에 따라오는 부분들이지 단점이 많다고 결코 좋지 않은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움이라는 강력한 강점 때문에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많은 비싼 향수들에 끊임없이 사용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1) 식물성 향료 천연향료 내에 식물성 향료는 식물의 특정 부위에서 .. 2023. 6. 19.
향의 개요 및 역사 (고전시대~근세시대) 고전시대 고전시대 - 그리스 : 그리스에서 향의 목적은 신적인 요소에서 향을 즐기는 목적으로 변화하였다. 주로 꽃에서 추출한 향료를 선호하였으며 바이올렛, 장미 등 향 소비가 많아져 일시적으로 향 수입을 금하기도 하였으며, 제조에는 주로 여성이 투입되었다. - 로마 : 로마인들은 신선항 장미를 선호하였으며, 로마의 네로 황제는 향의 사용을 사치스럽게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 예시로 집안에 향기를 퍼뜨리기 위해 향료를 바른 새가 온 집안을 날아다니기도 하고 값이 비싼 장미를 사용한 목욜을 즐기기도 하였다. - 인도 : 우디 함의 근간이라고 볼 수 있는 '샌달우드' 가장 큰 재배지가 인도 남부지방에 위치 해 있다. - 중국 : 머스크를 비롯하여 레몬 오렌지와 같은 시트러스 계열의 원산지이다. 아라비아 아라비아.. 2023. 6. 15.
향의 개요 및 역사 (원시시대~고대시대) 원시시대 PERFUME의 어원은 Per(~를통하여) + fumum(연기) 를 뜻한다. 향의 역사는 인류의 불의 역사에서부터 시작한다. 구석기 시대 산불 또는 낙뢰를 통해 불을 사용하게 된 이후부터인데요! 원시시대 사람들은 불의 발견 이후로 이 불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무, 풀 등을 태우면서 그 중 어떤것에서 향기가 나는 *방향성 물질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때 향을 접해보지 못한 원시시대 사람들은 이러한 향취는 신과 인간과의 교감을 위한 종교적인 매개체로 여기기 되었습니다. 더불어 향은 종교적인 의미와 함께 질병을 다스리기 위해 식물이나 동물에서 그 치료법을 찾으려 했다는 것을 바탕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구약성서 출애굽기 30장 23~25절' 참고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또 일러 가라사대 너는 최고 품질의 향.. 2023. 6. 15.
향수란 무엇인가? 향수에 대한 깊은 고찰과 방향성 그리고 우리들이 좋아하는 향 여러분은 향수나 조향에 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계신가요? 여러분들은 처음 어떤 사람을 만났을 때, 직관적으로 확인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그 사람의 외모, 옷 스타일, 헤어 스타일, 키 등 그리고 내면적으로 봤을 때 지식의 수준, 가치관, 성장배경 등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사람을 만났을 때 이러한 것들을 생각하게 됩니다. 이것은 어떠한 학습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라기 보단, 아무런 정보가 없는 우리들에게 특정 사람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일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여러 가지 것들 중 가장 관심 있게 보는 것이 바로 '향'인데요. 이것이 제가 바로 조향사라는 길을 걷게 된 이유입니다. 향수란 무엇인가? 향수의 종류: 오드 코롱(EDC): 가장 가벼운 향수로, 발향하면 곧 분해되는 향수를 가지고.. 2023. 6. 15.
728x90
반응형